진안 동향면 대량리 시굴조사에서 제동로(製銅爐) 추가 발견
진안 동향면 대량리 시굴조사에서 제동로(製銅爐) 추가 발견
  • 임성택 기자
  • 승인 2021.01.05 1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대 동(銅) 생산체계를 복원하기 위한 핵심자료로 평가

‘전북가야사 발굴조사 및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전북도와 진안군에서 시행하고, 군산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에서 실시한 전북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제동유적 시굴조사에서 제동로(製銅爐)가 추가 확인됐다.

전북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창촌마을 내에 위치한 진안 대량리 제동유적(製銅遺蹟)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등 문헌에 기록된 ‘동향소(銅鄕所)’의 실체를 보여주는 유적으로,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된 발굴조사에서 동(銅) 생산에 활용된 제동로(製銅爐) 2기와 대형 폐기장(廢棄場) 등이 조사된 바 있다.

특히 제동로는 동광석에서 동을 1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제련로(製鍊爐)로, 국내에서 처음 조사되면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되고 있다.

또한 슬래그(Slag), 노벽편(爐壁片) 등 동 부산물로 구성된 대형 폐기장은 국내에서 확인된 동 생산 폐기장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제동유적(製銅遺蹟): 동 생산과 관련된 유적의 통칭(統稱)

-제동로(製銅爐): 구리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노(爐, 가마와 유사)시설의 통칭(統稱)

-제련로(製鍊爐): 동광석에서 동을 1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제련에 사용된 노(爐)

-폐기장(廢棄場): 구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버리는 곳

-슬래그(Slag, 銅滓) : 동 생산과정에서 불순물이 녹아 흐른 찌꺼기

이번 시굴조사는 기존에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지역 주변을 대상으로 유적의 존재범위와 제동로 등 유구의 추가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조사결과 제동로와 폐기장이 추가로 확인됐다.

석재와 점토로 축조된 제동로는 강한 화기(火氣)로 인해 붉은 색을 띠고 있으며, 주변에 슬래그와 노벽편이 다수 산재한다.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 정확한 구조와 성격을 알 수 없으나 지난 발굴조사에서 드러난 제련로의 현황과 매우 유사한 양상으로 파악되고 있다.

제동로 동쪽에 위치한 폐기장에서는 숯, 슬래그, 노벽편 등이 확인되는데, 오랜 경작활동으로 대부분 훼손되어 높이 0.4m 가량만 남아있는 상태다.

조사기관과 학계에서는 금번 추가로 확인된 제동로와 폐기장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유적의 가치가 보다 명확히 밝혀질 뿐만 아니라 국내 동 생산체계와 제동로 구조 복원을 위한 핵심 자료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유적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해 1980년대까지 동광석을 채광하기 위해 운영되었던 ‘동향광산’과 연계된 보존·활용방안이 모색된다면, 유적의 가치가 더욱 심도 있게 조명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진안 대량리 제동유적은 폐기장 등에서 수습된 유물과 자연과학적분석 결과로 볼 때, 9세기 중반을 전후한 시기인 나말여초(羅末麗初)기에 운영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러나 지표에서 수습된 유물이나 문헌기록으로 보아 유적의 상한 및 하한연대는 조정될 여지가 있으며, 초기철기·삼국시대 및 고려시대 청동제품 생산체계와의 연관성이 주목되고 있기도 하다.

진안군은 이번 조사성과로 인해 현재 추진 중인 대량리 제동유적의 전라북도 문화재 지정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유적의 존재가 추가 확인된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추진하여 유적의 조사·정비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